중국 총리의 러시아와 벨라루스 방문은 베이징, 모스크바, 민스크 간의 점점 더 긴밀해지는 관계와 협력을 더욱 확인시켜 주었습니다. [광고_1]
중국 총리 리창(왼쪽)과 러시아 총리 미하일 미슈스틴, 8월 21일 모스크바에서. (출처: TASS) |
러시아와 벨라루스 대통령의 초청으로 중국 총리 리창은 8월 20일부터 23일까지 양국을 방문하여 정치적 신뢰를 강화하고 협력을 증진했습니다.
고위급 합의 실현
리창 총리는 러시아에 체류하는 동안 미하일 미슈스틴 러시아 총리와 제29차 정기 회의를 공동 주재했습니다. 회의는 경제, 무역, 지정학적 전략 분야에서 양국 간 파트너십과 협력을 발전시키고 확대하기 위한 전망을 논의하고 "공동 관심사인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중국과 러시아 간 총리급 정기회담은 1996년 시작된 양국 정상회담을 보완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부총리급 정부간위원회 5개와 하위위원회 및 전문 실무그룹 80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 이후로 이 메커니즘은 두 나라 고위 지도자 간의 협정 이행을 촉진하고, 실질적인 협력을 전개하고, 효과적인 인적·문화적 교류를 강화하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회담 후, 양측은 양국 간 협력과 공동 이익에 관한 여러 정부 간, 부처 간 문서에 서명했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양측은 무역 관계 확대, 에너지 협력 강화, 합작사업의 새로운 방향 모색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석유 및 가스 화학, 재생 에너지, 자동차 및 항공기 산업, 정보 기술, 통신 및 우주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리창 총리의 러시아 방문은 올해 중국과 러시아 간 세 번째 고위급 교류로, 5월과 7월에 시진핑 서기장 겸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간의 두 차례 회담에 이은 것입니다. 이전 두 차례의 회담에서 시진핑과 블라디미르 푸틴은 양국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전략적 발전 계획을 설명했습니다. 리창 총리는 양국의 공동 노력으로 새로운 시대의 중국-러 전면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국제적 도전을 극복하면서 밝은 미래로 나아갈 것이라고 단언했습니다.
올해는 중국과 러시아가 수교한 지 7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리창 총리는 시진핑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전략적 지도 하에 양국은 새로운 관계 모델(주요 이웃 국가 간의 관계)을 구축했다고 공유했습니다. 현재 중국과 러시아의 관계 관행은 긴밀한 유대관계, 강력한 정치적 신뢰, 효과적이고 긴밀한 협력, 그리고 양자 관계와 국제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활력을 보여줍니다. 2023년 중국과 러시아 간 무역 규모는 2,401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중국은 14년 연속으로 러시아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 되었습니다. 2024년 첫 7개월 동안 중국-러시아 무역은 전년 대비 1.6% 증가해 1,366억 7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를 확인하다
작년에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두 차례 중국을 방문하여 벨라루스가 중국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확인했습니다. 리창 총리의 벨라루스 방문은 2007년 이후 중국 총리의 첫 벨라루스 방문이다. 중국 정부 수반인 리창 총리는 로만 골로프첸코 총리와 양자 관계 및 상호 관심 분야 협력에 관해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 마오닝에 따르면, 중국과 벨로루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입니다. 1992년 수교 이래, 그리고 2022년 전면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이래, 중국과 벨라루스 관계는 꾸준한 발전 추세를 유지해 왔습니다. 발레루스는 베이징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선구자 중 하나입니다. 2024년 7월 벨라루스는 상하이 협력 기구(SCO)의 10번째 회원국이 되었습니다. 중국은 현재 벨라루스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이며, 벨라루스는 유라시아 지역에서 중국의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무역 상대국 중 하나입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2023년 양국 간 무역 규모는 84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2년 같은 기간 대비 67.3% 증가한 수치입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문제와 관련해 중국은 중립을 주장하지만, NATO 회원국들은 항상 중국을 이 지역의 갈등 해결에 있어 "결정적인 중재자"로 간주합니다. 중국 외교부는 우크라이나 분쟁에 참여한 모든 당사자들에게 긴장을 "완화"하는 원칙을 고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베이징은 국제 사회와 계속 소통하고 협상과 정치적 해결책을 통해 우크라이나 갈등의 해결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세 나라 모두 미국과 서방으로부터 서로 다른 수준과 분야에서 제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총리의 러시아와 벨라루스 방문은 베이징, 모스크바, 민스크 간의 점점 더 긴밀해지는 관계와 협력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줍니다.
[광고_2]
출처: https://baoquocte.vn/thu-tuong-trung-quoc-cong-du-nga-va-belarus-tang-trao-doi-them-hop-tac-283481.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