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살이 되어 헌혈을 할 수 있게 되자, 땀끼시 떤탄구에 사는 부이 민 프엉(Bui Minh Phuong) 청년은 이 인도주의 활동에 열정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26개의 증명서를 보관하고 있을 뿐, 프엉 씨는 "붉은 피"를 몇 번이나 기증했는지 기억하지 못합니다. 시 적십자사(CTĐ)가 정기적으로 전 주민에게 헌혈을 독려했던 날들 외에도, 뜨거운 피를 기증했던 날들도 있었습니다.
새벽 2시쯤 꽝남성 종합병원으로 헌혈하러 달려갔던 이야기를 떠올리며 푸옹 씨는 이렇게 회상했습니다. "잠을 자고 있는데 지방 온혈 헌혈 클럽에서 전화가 왔어요. 헌혈이 시급한 환자가 있다고 하더군요. 그날 비가 엄청 내리고 있었는데, 소식을 들었어요. 헌혈을 하겠다고 하자마자 환자 가족이 바로 제 집으로 달려와 저를 데리러 왔어요. 헌혈 후 모두가 진심으로 감사해했고, 저는 정말 기뻤습니다!"

"민 프엉은 적극적으로 헌혈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역 청년 조합원들에게도 자발적인 헌혈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있습니다. 따뜻한 혈액이 필요할 때, 조건이 충족되면 언제든 기꺼이 헌혈에 나섭니다." 땀끼시 적십자사 임원 후인 반 토 씨가 말했습니다.

18세와 20대 시절부터 "생명의 씨앗을 뿌리는" 여정을 시작한 응우옌 응옥 후(1995년생, 땀끼시 안쑤언구) 씨는 지금까지 35회의 헌혈을 했습니다. 호치민 시 종양병원 소아암 환자 지원 봉사 동아리 회원이었던 그는 지속적인 수혈이 필요한 소아암 환자들을 위해 헌혈에 참여하며 자신의 힘을 보태고자 노력했습니다. 꽝남성 경찰에 복귀한 후, 후 씨는 즉시 소속 부대의 열혈 클럽에 가입했습니다.

최근 성(省) 자발 헌혈 운영위원회로부터 표창을 받은 젊은 의사 레꽝투안(1995년생, 탕빈현 빈사읍 출생)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저는 의료인으로서 이 의미 있는 생명을 구하는 활동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깊이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 방울의 피가 생명을 구합니다.' 작은 행동이지만, 적합한 혈액형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줍니다."
동료의 자발적 헌혈 성과를 언급하며, 꽝남성 종합병원 혈액수혈과 타오 박사는 이렇게 칭찬했습니다. "투안 박사는 헌혈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뿐만 아니라, 가족, 친척, 친구, 동료,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이 고귀한 행위를 통해 사랑을 전하도록 독려합니다. 중증 환자에게 긴급하게 혈액이 필요한 경우, 투안 박사는 신속하게 헌혈에 참여하고, 자격이 없는 경우에는 병원이 적합한 혈액원을 찾도록 지원합니다."

[ 영상 ] – 24회 헌혈을 한 응우옌 트롱 칸(Nguyen Trong Khanh) 씨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동안 전 도민이 동원되어 10,600유닛의 혈액을 수혈했습니다(중앙 목표치를 초과 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사회의 큰 관심과 지원 속에 자발적 헌혈 활동은 깊고 광범위한 인본주의적 가치를 전파했습니다. 열정적인 젊은 세대의 젊은이들은 특히 자발적 헌혈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또한 헌혈 클럽에서 인도주의적 헌혈 홍보 및 동원 활동에는 헌혈 조합원과 청소년들이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도 자발적 헌혈 운영 위원회는 충분한 혈액을 수혈받아 4개 병원 4개 혈액 수혈 시설의 혈액 수요를 충족할 수 있었습니다.
Le Tan Minh 씨 - 광남성 적십자사 회장, 광남성 자발적 헌혈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출처: https://baoquangnam.vn/nhung-tuoi-doi-muoi-voi-doi-muoi-lan-hien-mau-nhan-dao-3156775.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