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 태풍 야기(태풍 3호)로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요즘 하노이 떠이호 현 투리엔 마을의 금귤 재배자들은 전통 설날 전에 시장에 관상용 식물을 공급하기 위해 나무를 돌보고 가지치기를 하느라 바쁘다.
12월 10일 오전 투리엔 금귤 마을에서 촬영된 영상에는 마을의 많은 정원 주인들이 고객의 분재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금귤 화분을 돌보고, 가지치기하고, 특별 관리 구역으로 운반하는 데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습니다.
하노이, 타이호 구, 투리엔 마을에 있는 황지아 금귤 정원의 주인인 황 루안 씨(54세)는 지금 이곳의 정원사 대부분이 금귤 화분을 돌보는 데 바쁘다고 말했습니다. 가지치기부터 영양분 공급까지 해서 2025년 음력 설날에 나무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나트탄 금귤 마을의 정원사들은 2025년 음력 설을 맞아 장식용 금귤 화분을 관리하는 데 바쁘다.
"한 달 전, 저희 텃밭에서는 설 명절을 맞아 화분에 금귤나무를 심었습니다. 금귤나무는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크기가 다양하고 가격도 천차만별입니다. 올해 금귤나무 심는 데는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라고 황지아 금귤 텃밭 주인이 말했습니다.
루안 씨에 따르면, 날씨에 따라 금귤나무 관리 방법도 다르다고 합니다. 날씨가 비가 오면 물을 제한해야 하지만, 설날과 같은 건조한 날씨에는 금귤나무가 잘 자라기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하루에 1~2회 물을 주어야 합니다.
금귤이 익기 시작했으며, 2025년 1월 보름달 이후에 심을 수 있습니다.
이때 정원에 있는 금귤나무는 대부분 고객들의 사전 주문이 완료되었고, 관람을 위해 찾아오는 방문객 수도 매일 붐비고 있습니다. 정원사들은 놀이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나무를 조언해 줍니다. 황지아 정원의 주인은 "금귤나무 종류는 다양합니다. 나무 한 그루에 수십만 원 하는 것도 있고, 수백만 원 하는 것도 있고, 수천만 원 하는 것도 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투리엔 구 금귤 공예 마을 협회 회장인 응오 티 응아 씨는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이 지역의 금귤 나무 상황은 홍수나 폭풍이 없을 때와 마찬가지로 매년 많은 나무가 있습니다. 그러나 올해는 수확량 손실이 비교적 커서 약 20헥타르에 달합니다. 1구역(냣탄 구 경계까지 310번 도로 연장, 면적 1,800m)에는 약 20헥타르의 금귤이 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2025년 음력 설 전에 고객이 구매한 금귤 화분.
나무의 품질에 대해 응아 여사는 올해 금귤나무의 품질도 보장된다고 말했습니다. 투리엔 금귤나무는 꼼꼼함과 좋은 관리로 유명하며, 오랜 역사를 가진 공예 마을로 유명하기 때문에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습니다. 3호 폭풍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양은 여전히 무제한입니다.
투리엔 금귤 마을에서는 4호 폭풍 당시 지형이 높아 1구역은 침수되지 않았습니다. 피해 지역은 주로 7구역(홍강 경계, 면적 약 14헥타르)이었고, 댐 아래는 7헥타르였습니다. 1번 지역에서는 약 1헥타르만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투리엔 마을 금귤나무는 디자인이 다양하고, 매년 바뀌지 않아 품질은 여전히 보장됩니다. 고객들은 가격에 대해 걱정하지만, 저희는 아무런 변화도 없이 가격도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리엔 구 금귤 공예 마을 협회 회장이 강조했습니다.
"손님"이 와서 사러 오기를 기다리는 녹색 금귤 화분.
동시에 이 사람은 매년 각 지방에서 사람들이 투리엔 마을에 와서 나무를 수입해 판매하지만, 올해는 수입을 위해 찾아오는 방문객 수가 훨씬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하노이 수도의 시민들에게 제공할 금귤의 양은 여전히 충분하며, 부족함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3번째 폭풍 이후, 투리엔 금귤 마을 주민들은 큰 경제적 손실을 입었습니다. 그러나 지방 정부의 비상한 결의와 격려, 지원 덕분에 투리엔 마을 사람들은 이제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고, 2025년 음력 설을 앞두고 시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관상용 금귤나무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www.congluan.vn/nguoi-dan-trong-quat-tu-lien-ruc-rich-chuan-bi-cho-tet-nguyen-dan-2025-post324936.html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