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주재 아일랜드 대사관의 지원으로 이 워크숍은 하노이 프라이드 주간에 개최되었습니다. 하노이 프라이드 주간은 사랑, 다양성, 포용을 기념하는 연례 행사입니다.
컨퍼런스 장면. (출처: 베트남 UNDP) |
이번 주의 긍정적이고 활기찬 분위기는 건설적인 대화를 촉진하여 베트남 최초의 성전환법이 제정되는 데 기여했습니다.
트랜스젠더는 실제 성 정체성과 일치하지 않는 신분증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합니다. 결과적으로 트랜스젠더는 서류상으로는 법적으로 성별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건강 관리, 주택, 취업 기회, 교육 및 기타 권리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영향을 받습니다.
베트남 주재 UNDP 상주 대표인 람라 칼리디 여사는 개회사에서 트랜스젠더를 포함한 모든 개인의 존엄성과 동등한 권리를 인정한 세계인권선언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람라 칼리디 여사는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베트남이 1982년에 비준한 시민적·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CPR)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CESCR) 등 국제 인권 조약에 명시된 차별 금지 원칙은 트랜스젠더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달성하려면 트랜스젠더를 포용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이는 2023년 의제의 핵심 원칙인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는다"에 따른 것입니다.
법무부 민경법국 레티호앙탄 부국장은 “트랜스젠더들은 개인의 신분 및 재산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 법률 경험을 참고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국제적 경험을 참고하여; 당과 국가의 정책과 지침을 제도화하는 것을 결합합니다. 베트남의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트랜스젠더의 합법적 권리와 이익을 보장하는 규정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워크숍에서 성전환법 초안을 작성한 국회의원 응우옌 아인 찌는 베트남의 성전환 현황과 국제 경험을 참고해야 할 문제들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특히, 다른 나라의 트랜스젠더에게 법률을 적용한 경험. 정년; 의료 개입 트랜스젠더의 의료 개입이나 성별 인식 절차를 수행할 때의 결혼 상태에 대한 규정 성전환을 위한 의학적 개입 후에는 몇 가지 법적 문제가 발생합니다. 성전환 인정을 위한 행정 절차 그리고 트랜스젠더의 성별을 확인/인정할 수 있는 유능한 기관.
워크숍에 참석한 3개국(일본, 파키스탄, 아일랜드) 대표들은 정체성과 재산 분야에 초점을 맞춰 트랜스젠더의 법적 인정과 사회적 수용을 향한 여정에서 얻은 경험과 통찰력을 공유했습니다.
워크숍에 참석한 대표단이 기념사진을 찍었습니다. (출처: 베트남 UNDP) |
베트남 주재 아일랜드 대사관의 코너 핀 부대사는 아일랜드가 단 몇 년 만에 이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으며, 트랜스젠더를 위한 법적 보호에 상당한 개선을 가져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아일랜드와 베트남은 긴밀하고 귀중한 우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 워크숍에 참여하여 경험을 공유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단언했습니다. 그는 베트남의 트랜스젠더 법안 초안이 트랜스젠더 커뮤니티에 대한 법적 보호를 확대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라고 믿는다고 밝혔습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