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사우디아라비아는 많은 유사점과 공통된 개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상호 투자와 무역 협력을 확대할 여지가 많습니다.
아랍 상품, 베트남에 깊숙이 침투하고 싶어
10월 19일 오전, 팜 민 찐 총리는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및 ASEAN-걸프 협력 위원회(GCC) 정상회의의 일환으로 베트남-사우디아라비아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했습니다.
총리, 베트남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비즈니스 포럼
일본 북부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고숙련 노동자 영입 희망
10월 19일 오후, 팜 민 찐 총리는 사우디 아라비아 경제기획부 장관인 파이살 알 이브라히를 접견했습니다. 총리는 회의에서 두 경제권이 에너지, 은행 및 금융과 같은 분야를 우선시하고 생산 협력, 할랄 제품 가공, 디지털 전환 등과 같은 새로운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면서 연결성을 강화하고 무역 및 투자 촉진 활동을 조정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파이살 알-이브라히 장관은 두 나라가 상대국의 시장을 활용하여 이 지역의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을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양측은 공동 경제 실무그룹 설립을 연구하고, 조만간 공동위원회 5차 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인적자원 및 사회개발부 장관인 아메드 알라지(Ahmed AlRajhi)를 접견한 총리는 양측이 노무 관리 기관 간 교류를 늘리고, 교육 분야에서 협력을 촉진하고, 노동 시장을 연결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아메드 씨는 고도로 숙련된 근로자를 포함한 베트남 노동력의 질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이 분야에서 협력의 잠재력이 여전히 매우 크다고 단언하며, 양측이 협력하여 현재의 어려움을 조속히 해결하고 가까운 미래에 더 많은 베트남 노동자를 사우디아라비아로 파견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법적 문제, 교육 협력, 효과적인 채용 메커니즘 구축 등이 포함됩니다.사우디아라비아 상공회의소 연합 회장인 하산 알 화이지 씨는 총리와 이야기를 나누며, 양측 정부와 기업계의 노력이 양자 협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고 말했습니다. 양국 간 무역 규모는 2021년 22억 달러에서 2022년 3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는 현재 중동에서 베트남의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입니다. 그러나 베트남에서의 수입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베트남으로의 수출보다 두 배나 높아 무역수지가 왜곡되었습니다. 이 나라의 기업들은 또한 무역수지가 균형을 이루고 아랍 상품이 베트남 시장에 더 깊이 침투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산 씨는 또한 베트남 정부가 베트남이 강점을 갖고 있는 제조업과 서비스 부문에 대한 사우디 아라비아의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가 베트남에서 성공을 거둔 분야로는 철강, 태양광 등이 있습니다. 동시에, 정보기술, 섬유, 식품 등의 분야를 장려하여 베트남의 국가 이익을 현재보다 늘리도록 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 기업 대표들의 권고를 듣고, 팜 민 찐 총리는 양측이 더 많은 신뢰와 기회를 얻고 협력을 강화하는 데 필요한 여건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는 베트남의 유리한 요소에 대해 공유했습니다. 특히, 경제 및 외교 정책과 더불어 '4불' 방위 정책은 베트남의 정치를 안정시켜 투자자들이 베트남에 오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보내는 동안에도 베트남은 거시경제적 안정성을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을 3% 이상으로 통제하고, 2022년 GDP 성장률을 8% 이상으로 유지하며, 경제의 주요 균형을 확보했습니다.
총리에 따르면, 베트남과 사우디아라비아는 많은 유사점과 공통된 비전을 가지고 있으며, 협력의 여지가 크고 잠재력이 크다고 합니다. 사우디 아라비아는 2030년까지의 전략적 비전을 가지고 있고, 베트남도 2030년까지의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양측은 서로를 보완할 수 있는 무역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팜 민 찐 총리는 양측이 자원이 아닌 혁신과 과학 기술에 기반한 개발, 기후 변화 대응, 디지털 전환, 녹색 전환과 같은 신흥 산업 분야에서 협력을 촉진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베트남은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이 나라에서 일하고 있는 베트남 노동자가 5,000명이 넘기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총리는 베트남이 아랍에미리트 (UAE)와 자유무역협정을 협상 중이며, 연말까지 걸프 국가 시장을 개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것들은 우리가 달성할 수 있는 일입니다. 베트남 정부는 기업의 합법적인 권익 보장에 전념하며, 베트남 시장에서 외국 기업의 권익 증진을 위해 함께 노력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특히 어려운 시기에는 "조화로운 이익과 위험 공유"라는 정신으로 서로 협력할 것이라고 총리는 강조했습니다.
녹색금융 유치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자면, 기획투자부 차관인 Tran Quoc Phuong은 베트남이 긍정적인 FDI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매력적인 목적지라고 말했습니다. 국제기구들은 베트남의 기업 투자 환경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베트남은 144개국과 지역에서 총 등록 자본금 4,550억 달러에 달하는 38,379개의 유효한 투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와 관련하여 베트남은 80개국과 지역에서 총 등록 자본금이 220억 달러가 넘는 약 1,667개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부 응우옌 홍 디엔 장관은 지난 10년 동안 양국 간 무역 규모가 꾸준히 긍정적으로 성장해 왔다고 말했습니다. 2022년에는 27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 대비 32.4% 증가하여 사우디아라비아는 대규모 시장이자 베트남의 중동 지역 주요 파트너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디엔 씨에 따르면, 두 나라는 양자 무역 규모를 계속 확대할 수 있는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출과 수입 상품의 구조가 직접적으로 경쟁하지 않고 서로 보완적이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는 베트남의 전자제품, 섬유, 신발, 농산물 및 수산물, 가공식품 등이나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석유화학 및 금융 제품 등입니다.
컨퍼런스에 참석한 농산물 수입 및 유통업체인 Emi Viet Trading and General Company Limited의 브랜드 디렉터인 와카스 아크람(Waqas Akram) 씨는 현재 베트남 기업들은 기본적으로 야채, 과일, 농산물(커피, 코코아 등), 건조 식품 또는 향신료(후추, 계피, 팔각 아니스, 쌀 등)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할랄 도축 방법의 높은 기준으로 인해 냉동육 제품은 여전히 제한적입니다. 그에 따르면, 베트남 기업은 사육부터 번식까지 체인 생산 방식으로 투자 변화를 수용하고, 할랄 도축 기준을 보장해야 합니다.
게다가 무슬림 시장은 매우 큰 규모로 57개국, 20억 명의 인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 세계 인구의 25%를 차지합니다. 이 중에는 UAE, 두바이, 사우디아라비아 등 세계 유수의 선진국도 많이 포함됩니다. 아크람 씨는 "베트남이 할랄 기준을 준수한다면 중동 국가의 많은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투자자들도 많이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Thanhnien.vn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