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호치민시 국립대학교 정책개발연구소가 실시한 "빈투언성, 떠이닌성, 하우장성을 대상으로 한 남부지역 교사들의 삶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교사들이 학부모로부터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사의 최대 70.21%가 부모로부터 압박을 받거나 매우 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교사의 40.63%가 부모의 정신적 폭력으로 인해 직업을 바꿀 것을 고려했습니다.
연구진은 모든 계층의 교육 관리자와 교사 132명을 인터뷰했고, 위에 언급된 세 지역의 교사 12,505명을 대상으로 9월과 10월에 대규모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탄니엔의 기자들은 현실 속의 실화를 기록했습니다.
학생들의 화장실 사용 을 지원하지 않는 교사에 대한 징계 요구
"교실이 왜 이렇게 작은 거죠?" 호치민시의 공립학교 6학년에 다니는 아이의 학부모가 학교 첫날 교장 선생님께 질문했습니다. 호치민시 중심부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에서 한 학부모가 교실에 에어컨, 프로젝터, 텔레비전이 없다고 교사에게 불평했습니다. 교장은 이곳이 공립학교이며 예산 제약으로 인해 가르치고 배우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장비만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모든 학부모에게 알려야 했습니다.
많은 유치원은 이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카메라를 갖추고 있지만, 많은 부모는 카메라를 "감시"하고, 교사와 학교 직원의 잘못을 찾고, 교사에게 더 많은 압력을 가합니다.
사진: 다오 응옥 타치
탄 니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이 교장은 사회가 현대화됨에 따라 부모들이 자녀의 공부에 관심을 갖고 함께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으며 이는 좋은 징조라고 말했습니다. 많은 부모들이 교사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효과적이고 행복한 학교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녀와 교사에게 너무 많은 압박을 가하는 부모들도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교사와 학교 직원에게 과도한 요구를 합니다.
"한 학부모가 저에게 매우 강하게 반발하며 1학년 담임 선생님에게 징계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담임 선생님이 학생이 학교에서 화장실에 갔을 때 도와주지 않았다는 이유였습니다. 1학년 적응 활동부터 학생들에게 화장실 구역, 안전 수칙에 대해 교육하고, 초등학교는 유치원과 다르다는 점도 강조했지만, 담임 선생님은 30명이 넘는 학생을 가르치고 화장실 안내를 동시에 할 수는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 학부모는 이를 거부했습니다. 그해 1학년 담임 선생님은 너무 지쳐서 다른 자리로 옮기겠다고 요청했습니다."라고 교장은 말했습니다.
혹은 수업 중 학생들 간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부모도 있습니다. 교장은 한번은 학부모 한 명이 학교 방과 시간에 학교로 달려와서 자녀에게 "누가 너를 때렸는지 보여줘. 내가 처리해 줄게."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또는 부모가 자녀가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나 친구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담임 선생님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묻지 않고 바로 교장 선생님에게 전화해서 교사와 학교 직원을 징계할 것을 요구하고, 자녀를 "위협"한 학생을 징계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학생들을 너무 많이 걱정하는 것도 의문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호치민시의 한 중등학교 교사는 전문적인 업무에서 좋은 성과를 내고, 직장에서 점점 더 높아지는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교육에 디지털 변혁을 적용하고, 2018년 일반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사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끊임없이 학습해야 하고 압박을 피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전문성에 대한 압박은 교사가 학부모, 학생과 소통하고 규율을 어기는 학생을 다루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닙니다.
"'모든 건 선생님 마음대로'라고 말하는 학부모들이 있는데, 선생님이 학생에게 엄격하면 받아들이지 않고 선생님에게 반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학부모와 학교가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문제가 생기면 학부모들은 담임 선생님과 직접 만나 상의하기보다는 학부모 모임에 글을 올려서 이야기를 나누고, 그 글이 맞는지 틀린지, 진위 여부도 모른 채 소셜 미디어에 올리는 등 해결책을 택합니다."라고 한 여교사는 말했습니다.
교사는 학생들이 처음 6학년에 진학할 때, 새로운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뿐만 아니라 태도와 행동도 관찰하고 감시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교사는 특이한 점을 발견했을 때 학생의 부모와 능숙하게 논의하여 자녀를 건강 검진과 건강 평가를 위해 데려갈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부모들은 교사들과 이야기를 나누면 교사가 자기 아이들을 차별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왜 항상 내 아이에게만 주의를 기울이세요? 왜 그런 걸 묻는 거예요?"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일이 여러 번 일어나자 여교사는 두려움에 휩싸여 학생들에게 어떻게 부탁해야 할지, 어떻게 돌봐야 할지 몰랐습니다...
호치민시 1구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학교가 항상 학부모로부터 건설적인 피드백을 받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학교와 교사의 모든 사소한 일에도 주의를 기울여 비난하는 부모도 있습니다. 그들은 아이들의 선생님과 이야기할 때조차 거만한 언어를 사용합니다...
부모로부터 신뢰와 이해를 기대하다
호치민시 7군 응우옌티탑 중학교 교장인 보바오다오지엠 씨는 매 학년 초에 학부모들을 만나 학교의 목표와 업무에 대해 논의하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어린이들의 종합적인 발달이라고 말했습니다. 학교의 발전을 위해 항상 동행하고 긍정적인 기여를 하며 팀을 위한 정신적 자원을 만들어내는 사랑스러운 부모님들이 많지만,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님들도 여전히 몇몇 있습니다.
학부모는 학교와 협력하여 행복한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영상; 옥
따라서 디엠 씨가 학부모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학교를 항상 신뢰하라는 것입니다. 신뢰는 가정과 학교를 하나로 묶는 중요한 접착제입니다.
"학부모님들께서 오늘날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과 고충을 이해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수업 시간 외에도 교사들은 수많은 과제를 수행해야 합니다. 교사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지식을 향상시키고 업데이트하는 것 외에도, 각 교사는 교실을 관리하고 학생들의 학습 질,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돌보아야 합니다. 한 학급에 약 40명의 학생이 있고, 각 학생은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은 매우 큽니다. 교사들과 함께하기 위해 학부모님들께서도 공감하고, 이해하며, 함께해 주시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학교가 행복해야 학생들도 행복하고, 교사들도 행복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학부모님들의 역할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라고 보 바오 다오 디엠 씨는 털어놓았습니다. (계속)
교사들은 실제 생활과 소셜 네트워크에서 모두 "괴롭힘"을 당합니다.
언론에서는 교사들이 실제 생활과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괴롭힘"을 당하는 사례를 많이 보도했습니다. 탄니엔 신문은 한때 많은 유치원 교사들의 의견을 게재했는데, 부모들이 소셜 미디어에 교사들에 대한 "비난" 글을 올렸을 때 교사들이 압박을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2023년 5월, 여러 차례 위반한 학생을 보통 수준의 품행을 가진 학생으로 분류하던 중, 닥글롱구, 닥농 출신 교사 VTKQ가 집에 찾아온 학부모에게 폭행을 당했습니다. 그 전에도 이 부모는 여러 번 전화해서 VTKQ 씨에게 모욕적인 말을 했습니다. 2023년 10월, 함탄 고등학교(빈투언)의 교감은 집에 침입한 부모와 낯선 사람들에게 구타를 당해 코뼈가 부러지고 눈꺼풀이 처져 응급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부모는 자녀 에게 압력을 가하고, 교사에게도 압력을 가하는 건가요?
호치민시 1군의 초중등학교에 다니는 자녀를 둔 학부모 QT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사실, 이상한 선생님들도 많지만, 부모 중에서도 매우 이상하고 선생님을 비난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부모는 교사가 자녀를 가르치고 돌보는 과정에 함께해야 하며, 자녀를 지나치게 보호해서는 안 됩니다. 누구보다 자녀의 성격을 이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자녀가 실수를 한다면, 선생님을 꾸짖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아이를 먼저 꾸짖어야 합니다."
호치민시 3군에 사는 학부모 TN 씨는 솔직하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요즘 많은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그리고 저녁 9시에서 10시까지 일주일 내내 과외 수업을 시키려고 합니다. 부모들은 자녀에게 압박감과 기대치를 높이고, 이는 교사들에게 가해지는 부담을 가중시킵니다. 따라서 부모가 자녀에게 가해지는 압박감을 줄이면 교사들의 부담감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습니다."
[광고_2]
출처: https://thanhnien.vn/giao-vien-ap-luc-vi-phu-huynh-185241204154852588.ht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