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tnam.vn - Nền tảng quảng bá Việt Nam

새로운 맥락에서 베트남의 지정학적 전략과 지정학적 가치

TCCS - 국가의 지정학적 전략과 지정학적 가치는 국가가 외교 정책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큰 관심을 기울이는 요소입니다. 중요한 지리적 위치, 끊임없이 강화되는 국력, 개방적인 외교 정책으로 인해 베트남은 주요 국가들로부터 늘 존경을 받아왔습니다. 새로운 발전 시대와 지금부터 2030년, 2045년까지의 세계와 지역 정세의 흐름 속에서 베트남이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고, 선진 사회주의 국가로 '떠오르는' 열망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Tạp chí Cộng SảnTạp chí Cộng Sản29/04/2025

국가의 지정학적 전략과 지정학적 가치

세계적으로 지정학에 대한 논의는 주로 현실주의 진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실주의 진영은 국제 관계의 경쟁적 성격, 국가 전체의 힘, 군사 전략 등을 다룹니다. 많은 연구자들은 지정학이 지정학의 한 분야이며 전략적 사상가들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믿고 있다 (1) . 독일 지리학자 프리드리히 라첼(Friedrich Ratzel) - "생활공간(Lebensraum)" 이론의 창시자 - 은 영토가 국가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믿었습니다 (2) . 영국의 지리학자이자 학자, 정치가인 핼퍼드 맥킨더는 그의 "심장지대 이론"을 통해 중앙아시아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3) . 미국의 지정학자이자 지정전략가인 니콜라스 존 스파이크먼(Nicholas John Spykman)은 핼퍼드 맥킨더(Halford Mackinder)의 이론을 발전시켜 대륙의 중심보다 주변 지역이 더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4) . 그는 냉전 동안 미국의 외교 정책을 설명하기 위해 지정학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기도 합니다. 한편, 미국의 지정학자 앨프리드 세이어 마한(Alfred Thayer Mahan)은 그의 '해양력 이론(Sea Power Theory)'을 통해 해양의 지배가 세계 패권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5) . 전략 이론가 지비그뉴 브레진스크의 '권력의 게임'에서의 '지역선택' 이론은 미국의 세계 전략에서 유라시아 지역의 중요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면서 미국이 초강대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라시아 지역에서의 우월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6) .

"지전략"이라는 용어는 1930년대부터 언급되었지만 (7) "지전략" 개념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매우 다양합니다. Merriam-Webster 사전(미국)에 따르면 지정학은 전략적 문제를 다루는 지정학의 한 분야이며, 특정 지리적 영역에서 지정학적 요소와 전략적 요소가 결합된 것이며, 지정학적 요소에 기반한 정부에서 사용하는 전략입니다 (8) . 일부 견해에서는 지정학은 국가가 외교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정치적, 외교적, 군사적 자원을 투자하는 분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9) . 한편, 지정학은 특정 접근방식(특정 학문이라고 할 수 있음)이며, 전략적 공간의 움직임을 연구하는 정치학의 연구 주제이며, 특히 외교 분야에서 국가 발전 전략/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도구라고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10) . 지정학은 국가의 안보와 발전을 위한 전략적 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국가의 공간을 통제하고 이용하는 전략적 고려, 행동 계획, 기술입니다 (11) .

따라서 지정학에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있습니다. 이론적 관점에서 지정학은 지정학에서 유래한 과학으로, 국가의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지리적 요인(지정학적, 지경제적, 지문화적, 지군사적)을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보면 지정학은 국가나 파트너의 가치(지리적 요소 포함), 즉 국가가 전략에 고려하고 사용하는 대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위의 가치들(지리적 요소 포함)은 지정학적 가치라고 할 수 있다. 국제 관계에서의 다른 유형의 가치와 마찬가지로, 한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는 그 국가의 파트너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고려됩니다. 예를 들어, 일본 전략예산평가센터의 도시 요시하라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대만(중국)의 지정학적 가치를 해상교통연결, 해상전략완충지대, 해상관문 등 세 가지 측면에서 고려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12) . Atlantic Council 전문가 Albin Aronsson은 그리스와 스웨덴이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대해 갖는 지정학적 가치를 두 나라 모두 해상 국가이고 NATO의 "국경"에 위치하고 있다는 관점에서 봅니다 (13) . 따라서 지정학적 가치란 한 국가의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관점에서 볼 때, 그 국가와 다른 국가의 전략에 있어서 지리적 위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뜻한다고 이해할 수 있다. 지역의 지정학적 가치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창출하고 변화시키는 요인들

다른 나라의 전략적 계산에서 한 나라의 지정학적 가치는 주로 지리적 위치, 국가의 종합적 강점, 국가의 외교 정책이라는 세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

지리적 위치에 관하여 : 연결 지점에 위치한 국가, 중요한 교통로(수로, 도로)를 지키는 국가, 전략적 천연자원이 풍부한 지역, 대국에 인접한 지역, 변동이 많은 지역은 종종 국가, 특히 강대국의 관심을 끌며 외교 정책과 국가 전략에 고려됩니다. 이에 따라 싱가포르(말라카 해협을 보호), 파나마(파나마 운하를 소유), 예멘(홍해를 통한 해상 경로를 보호), 이집트(수에즈 운하를 소유)... 석유자원이 풍부한 걸프지역 국가, 광물자원이 풍부한 서아프리카 국가, 주요국들 사이에 위치한 중앙아시아 국가, 미국과 국경을 접한 카리브해 국가, 중국과 국경을 접한 동북아시아 국가 등은 지정학적으로 큰 가치를 지닌 국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파나마 대통령 호세 라울 물리노와 미국 국방장관 피트 헤그세스, 2025년 4월 9일 파나마에서 열린 서명식에서 _출처: AP

국가종합력에 관하여 (14) : 동일한 지리적 영역에 위치하는 국가일수록 종합력이 큰 국가일수록 지정학적 가치가 크다. 나이지리아(서아프리카 국가), 카자흐스탄(중앙아시아 국가),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중동 국가)은 지역, 인구, 경제, 군사 및 국제적 영향력 측면에서 다른 국가보다 크기 때문에 전형적인 예입니다.

외교 정책에 관하여 : 외교 정책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추구적" 외교 정책(한쪽/한 국가에 치우치는 것)과 "균형적" 외교 정책(한쪽/한 국가에 치우치지 않는 것)입니다. 지정학적 가치 측면에서 볼 때, 국가가 "추구하는" 외교 정책은 종종 해당 국가나 파트너에게 가치가 있습니다. 한편, '균형 잡힌' 외교 정책은 관련된 모든 당사자에게 지정학적 가치를 지닌다. 예를 들어,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의 경우, 발트 3국은 모두 NATO 회원국이기 때문에 발트 3국들의 외교 정책은 NATO의 입장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NATO의 서쪽 측면에 위치하고 러시아와 인접해 있어 NATO가 "적대국"으로 간주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NATO에 큰 지정학적 가치를 지닙니다. 그러나 다른 국가, 특히 러시아에 대한 이들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지 않았습니다. 반면, 역시 NATO 회원국이며 발트 3국과 지리적으로 유사한 튀르키예는 NATO와 러시아가 균형 잡힌 외교 정책을 실행할 때 NATO와 러시아 모두에게 중요한 지정학적 가치를 지닌다.

위의 세 가지 요소 중에서 국가의 포괄적인 힘, 특히 지리적 위치는 필요 조건으로 볼 수 있으며, 외교 정책은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지정학적 가치를 갖기 위한 충분 조건으로 볼 수 있습니다. 외교 정책은 국가의 안보와 개발 목표에 부합하는 지정학적 가치를 공고히 하고 증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여겨진다.

한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는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다른 국가가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국가들이 전략적 목표, 전략적 목표를 실행하는 방법, 특히 자원의 사용 등을 바꾸면 해당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에 대한 평가도 바뀝니다. 게다가 해당 국가의 전반적인 힘이 강화되는 맥락에서, 이들 국가가 해당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도 변화합니다. 따라서 특히 군사 분야에서 과학기술의 진보는; 세계의 움직임과 지역 상황 국가적 총체적 힘의 변화는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변화시키는 주요 요인입니다.

과학기술의 진보에 관하여, "대륙심장론", "육지횡대론", "해상강국론" 등의 이론의 발전사는 모두 과학기술의 진보와 직접 관련이 있으며, 특히 군사 분야의 과학기술의 진보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첨단기술의 발달로 정밀 유도 무기, 즉 "스마트 무기" 세대가 탄생했고, 이는 전쟁 수행 방식을 바꾸어 첨단 전쟁의 탄생을 가져왔습니다. 전투 공간은 육지, 공중, 해상, 우주, 사이버 공간 등 모든 환경으로 확장됩니다. 이로 인해 한 국가가 다른 국가에 대한 전쟁 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 지정학적 가치의 개념이 바뀌었습니다.

반면,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천연자원의 가치도 변화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석유는 더 이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다고 하며, 희토류, 리튬, 팔라듐, 텅스텐 등은 점점 가치가 높아지는 첨단 제품을 제조하는 데 필요한 금속입니다. 따라서 오늘날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가치는 20세기 70~80년대와는 다르다. 마찬가지로, 인류가 해상 운송에 덜 의존하게 되면서 싱가포르와 파나마와 같은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도 변화합니다. 세계경제포럼은 인공지능(AI), 블록체인, 5G 기술이 세계의 지정학적 지도를 바꾸고 있다고 보고 있다 (15) .

세계의 움직임과 지역 상황에 관하여 : 세계의 움직임과 지역 상황은 국가들의 전략적 계산을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다른 국가의 전략에서 다른 국가의 가치도 변화하게 됩니다. 냉전 이후, 유럽의 지역적 상황의 변화로 인해 NATO의 전략적 계산에서 동유럽 국가들의 지정학적 가치도 바뀌었습니다. 마찬가지로 소련이 붕괴되었을 때(1991년)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가치는 점점 더 높이 평가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이 국가들은 러시아(초강대국 지위를 회복하려는 국가), 중국(강력하게 '떠오르는' 국가), 인도('변혁'을 시작한 국가) 사이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러시아와 NATO 간의 관계가 긴장되면서, NATO의 전략에서 발트 3국이 갖는 지정학적 가치가 커지고 있습니다. 반면,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가치는 미국 외교 정책에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미국 정부에 복귀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1시간 30분 동안 전화 통화를 하며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의 해결책을 논의했기 때문이다 (16) . 세계사는 주요 국가들과 주요 국가들 간의 상호작용이 세계 정치의 발전 추세와 국제 질서의 형성에 있어서 언제나 지배적이고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음을 보여줍니다. 작은 나라에게는 큰 나라와의 관계와 관련 이슈를 다루는 것이 항상 중요합니다.

국가 종합적 강점의 변화에 ​​관하여 : 국가 종합적 강점은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구성하는 요소이자 그 가치를 변화시키는 요소입니다. 국가의 종합적 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정치적, 사회적 안정을 바탕으로 한 '하드 파워'(군사적, 경제적 힘)입니다. 대부분 국가의 외교 정책 전략의 기획과 실행이 여전히 선거 주기나 지도자들의 단기적인 계산에 영향을 받는 가운데, "소프트 파워"는 신속하고 명확한 결과를 가져오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전문가에 따르면, 국가의 포괄적 권력 변화에는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다. 첫 번째 시나리오에서 , 국가의 전반적인 힘이 커짐에 따라, 해당 국가를 지역적 목표를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국가의 계산에 따라 해당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도 커질 것입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에서는 한 국가의 전반적인 국력이 약해지고 불안정이나 붕괴의 위험에 처하게 되면 관련 국가들의 전략적 계산에서는 그 국가의 중요성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지만, 그 국가 자체에 대한 지정학적 가치는 붕괴됩니다.

이로써 과학기술의 진보와 국제·지역 정세의 변화는 객관적인 반면, 국가의 종합적 역량의 변화는 주관적임을 알 수 있다.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국이 과학기술의 발전 추세와 세계 동향, 지역 정세에 맞춰 국가의 종합적 역량을 구축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새로운 맥락에서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파트너 네트워크와 자유무역협정(FTA)의 수를 고려한다면, 베트남은 비슷한 국력과 개발 수준을 가진 다른 국가들에 비해 높은 지정학적 가치를 가진 국가로 간주됩니다. 주요 국가들은 다음과 같은 요인 때문에 항상 베트남의 외교 정책과 전략에 대한 입장과 역할을 중요시합니다.

첫째 , 베트남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지정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동쪽으로는 통킹만과 동해가 있습니다. 서쪽은 라오스와 캄보디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중국 북쪽; 남쪽은 동해와 태국만과 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베트남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다리이자, 아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해상 및 무역로의 중요한 교통축에 위치하며, 태국만과 동해 사이의 전략적 해상 경제 및 무역로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베트남은 태평양에서 아시아로 들어가는 "관문"입니다.

둘째 , 물적, 정신적 힘, 전통과 현대의 힘, 경제, 정치, 문화, 사회, 국방, 안보, 외교 등 모든 방면에서 베트남 인민의 힘에서 비롯된 국가적 종합력이 끊임없이 강화되고, 국가의 지위와 국력이 새로운 수준으로 제고됩니다. 사회주의 정권은 유지되고 강화되며, 그 우월성이 점점 더 널리 알려지게 됩니다. 국민통합의 힘이 강화됩니다. 당의 지도력과 통치 역할이 유지되고 증진됩니다. 안정적인 거시경제와 상당히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이 지역과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국가 방위와 안보 잠재력이 통합되고 강화됩니다.

셋째 , 베트남은 정의, 사랑, 이성을 중시하는 평화애호국으로서 국제협력에 있어서 독립, 자립, 평화, 우정, 협력, 개발, 다양화, 다자화를 지향하는 외교정책을 시종일관 고수해 왔습니다. 한국은 전 세계 여러 나라의 좋은 친구이자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이며, 국제 사회의 책임감 있는 구성원입니다. 변덕스럽고 전략적 경쟁이 치열하며 선택의 폭이 넓은 세상에서 베트남은 확고하게 '4불(不)' 방위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17) . 편을 들지 말고 유엔 헌장과 국제법의 기본 원칙에 따라 정의, 공정, 정의, 이성을 선택하십시오. 평등, 윈윈, 윈윈

베트남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아시아에서 가장 분주한 해상 및 상업 노선의 중요한 교통 축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사진: 바리아-붕따우 - 국제적인 슈퍼 요트의 목적지)_출처: nhiepanhdoisong.vn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변화시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지금부터 2030년과 2045년까지 국제 및 지역 정세의 발전은 여러 측면에서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에 다차원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첫째 ,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이버공간(사이버전), 우주공간(우주전) 등이 국가, 특히 대국의 전략적 계산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바다와 육지 공간의 중요성은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주요국들은 해상 경로, 해저 광케이블, 내륙 깊숙한 곳의 목표물로의 접근 경로 등을 국가 전략 계산에 여전히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베트남의 경우 고속열차 기술, 초음속 항공, 풍력 발전, 친환경 수소, 접근 차단 무기 기술 등이 베트남의 연결성 가치와 '게이트웨이'를 높일 수 있습니다.

둘째 , 앞으로의 세계 및 지역 정세에 대한 대부분의 예측은 주요국 간의 관계에서 경쟁이 두드러진 특징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미국과 서방,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분열과 파편화 추세는 점점 더 명확해질 것입니다. 이는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하위 다자간 연계의 증가 추세, 지정학적 긴장의 부정적 영향을 피하고 보다 수익성 있고 지속 가능한 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공급망을 전환하는 추세 등도 향후 5~10년 동안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셋째 , 베트남이 회원으로 있는 협력 메커니즘의 지속 가능성과 회복력은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에 계속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은 앞으로도 주요 국가들을 중심으로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이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포괄적이고 진보적인 횡태평양 파트너십 협정(CPTPP)은 지역 내외의 많은 국가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협력 메커니즘의 발전 추세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입니다.

일반적으로 세계와 지역 상황의 변화는 지금부터 2030년과 2045년까지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의 영향은 국내적 맥락과 상호 작용하여 고려될 필요가 있습니다. 베트남은 새로운 시대, 즉 국가 성장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으며, 2045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고소득 선진국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국가 발전의 열망을 실현하고 새로운 발전 시대에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 위해 베트남은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필요합니다.

첫째 , 국가의 종합적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하드파워' 외에 '소프트파워'를 불러일으키고 육성하는 데 특별히 주력하여, 제13차 전국대표대회 결의에서 제시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적 국가역량을 구축합니다. 해상 경제, 항구, 도로, 철도 등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 등과 바다를 연결하는 연결성이 향상된 분야와 지리적 구역에 집중하여 지역 물류 센터, 지역 및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의 중요한 연결 고리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지리적으로 관련된 요소(광케이블 시스템, 데이터 센터 시스템 등)를 중심으로 사이버 공간과 우주 공간에서 국가 역량을 강화합니다.

둘째 , 자립능력을 강화하고 자주, 자립, 다자화, 다양화, 적극적, 적극적인 국제융합의 외교정책을 효과적으로 관철합니다. 독립성과 자율성은 지정학적 가치를 창출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독립과 자율성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국제 통합을 위한 기초, 조건, 전제입니다. 오히려 국제통합은 국가의 독립과 자율성을 유지하는 능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지역과 세계에 대한 국제적 통합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독립과 자립을 유지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많은 파트너들과의 외교관계를 다각화하고 다자화하여 세계 각국의 자원과 지원을 촉진하고 동원하여 베트남 사회주의 조국을 건설하고 수호하는 사업에 기여해야 합니다.

셋째 , 시대의 주요 흐름에 맞춰 발전전략과 외교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이는 새로운 맥락에서 국가의 힘과 시대의 힘을 결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국내외의 많은 연구에 따르면, 지금부터 2030년과 2045년까지 평화, 협력 및 개발, 세계화, 민주화, 녹색 전환, 디지털 전환 등의 주요 추세가 대부분 국가의 참여로 계속해서 두드러진 추세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추세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국가의 전반적인 힘을 강화하는 동시에 베트남의 지역 및 세계에서의 역할과 입지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넷째 , 지역 및 국제 사회의 공동 작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세계의 평화, 안보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공동의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에 인적 자원과 재정 자원을 포함한 자원을 기여할 준비를 갖추십시오. 이는 또한 베트남의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 적극적이고 책임감 있는 회원"이라는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구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외교 문제를 다룰 때는 엄격한 준수 외에도 국제 사회의 대다수 국가가 인정하는 국제법의 기본 원칙과 가치를 수호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섯째 , 대국을 상대할 때는 협력과 투쟁의 방법을 유연하게 적용하고, 각 대국의 특성에 맞는 정책을 적용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나라와의 관계가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주요국의 동향을 중심으로 국가의 독립, 자치, 주권과 관련된 상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협력 과정에서 적절히 대응한다. 주요국과 국방·안보 분야의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현대 세계에서 베트남의 위치와 강점을 명확히 인식하고, 국제 관계, 특히 주요 국가 간의 협력-경쟁 관계, 지정학적 움직임, 국제 및 지역 질서에서 베트남의 위치를 ​​파악하여 가능한 행동의 역량과 한계를 인식합니다. 특히 우리는 국가가 주요 국가 간의 권력 경쟁 "게임"의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도록 해야 하며, "4불" 국방 정책을 견지해야 하며, 베트남과의 관계에서 주요 국가의 영향력과 이익의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여섯째 , 새로운 맥락에서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합니다. 따라서 조국을 수호하고 새 시대의 국가 발전을 위해 중국과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에 대한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면밀히 연구 평가하고, 그 가치를 극대화하는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동시에, 해당 지역의 평화, 안정,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기여합니다.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는 국가, 특히 주요 국가의 지역 전략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지금부터 2030년까지, 2045년의 비전을 가지고, 지역과 세계의 끊임없는 움직임과 변화 속에서 베트남의 지정학적 가치에 대한 이점, 기회, 어려움, 과제는 항상 함께 나타나고 얽혀 있습니다. 장점, 기회, 어려움, 과제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역할과 의의를 가지며, 거시적 수준에서 올바른 전략을 수립하고 어려움과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이며 실행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초가 됩니다.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여 국가의 지정학적 가치를 높이고 신속하고 지속 가능한 국가 발전이라는 사명에 이바지하며, 자신 있게 새로운 발전 시대로 진입합니다.
-----------------------------
(1) Strategiecs 팀: “21세기의 지정학”, Strategiecs 싱크탱크 , 2021년 6월 23일, https://strategiecs.com/en/analyses/geostrategy-in-21st-century
(2) 참조: Friedrich Ratzel: Politische Geographie(정치 지리학), R. Oldenbourg, 1897

(3) 참조: Halford Mackinder: The Geographical Pivot of History , Royal Geographical Society, 1904
(4) 참조: Nicholas Spykman: America's Strategy in World Politics: The United States and the Balance of Power, Harcourt, Brace and Company, 1942
(5) 참조: Alfred Thayer Mahan: The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 1660-1783, Little, Brown and Company, 1890
(6) 참조: Zbigniew Brzezinski: The Grand Chessboard: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Basic Books, 1997
(7) 참조: “지전략 형용사”, Oxford University Press , 2012, https://www.oed.com/dictionary/geostrategic_adj?tl=true
(8) Merriam-Webster: “지전략의 정의”,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geostrategy
(9) Grygiel, JJ: 강대국 지정학적 변화, 볼티모어: 존스홉킨스 대학교 출판부, 2006
(10) Tran Khanh: 베트남의 지정학적 비전 2030: 이론적, 실용적 및 정책적 적응 문제 , 출판사. 국가정치진실, 하노이, 2024, p. 87 - 88
(11) Tran Khanh: “국가 지정학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논의”, Electronic Communist Magazine , 2023년 5월 12일, https://www.tapchicongsan.org.vn/web/guest/tin-binh-luan/-/asset_publisher/DLIYi5AJyFzY/content/ban-ve-cac-thanh-to-cau-thanh-dia-chien-luoc-quoc-gia
(12) 토시 요시하라: “대만의 지정학적 가치에 대한 중국의 견해”, 사사카와 평화재단 , 2023년 4월 12일, https://www.spf.org/spf-china-observer/en/document-detail045.html
(13) Albin Aronsson: “러시아와 NATO 간의 현재 갈등에서 그리스와 스웨덴의 지정학적 가치”, Atlantic Council, 2015년 12월 19일, https://www.atlanticcouncil.org/blogs/natosource/the-geostrategic-value-of-greece-and-sweden-in-the-current-struggle-between-russia-and-nato/
(14) 국가의 종합적 강점에는 경제, 군사, 문화, 국제적 영향력 등이 포함된다. 넓은 의미에서 국가의 종합적 강점에는 지리적 가치가 포함된다.
(15) 참조: “기술이 지정학을 어떻게 형성할 것인가에 대한 7가지 견해”, 세계경제포럼 , 2024년 9월 10일, https://www.weforum.org/stories/2021/04/seven-business-leaders-on-how-technology-will-shape-geopolitics/
(16) 참조: Patrick Reevell: “트럼프-푸틴 통화가 우크라이나에 미치는 영향: 분석”, ABC News , 2025년 2월 14일, https://abcnews.go.com/International/trump-putin-call-means-ukraine-analysis/story?id=118788646
(17) 1- 외국이 군사기지를 설치하거나 영토를 이용하여 다른 나라와 싸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2- 군사 동맹에 가입하지 마십시오. 3- 한 나라와 동맹하여 다른 나라와 싸우지 마십시오. 4- 국제관계에서 무력을 사용하거나 무력을 사용하겠다고 위협하지 마십시오.

출처: https://tapchicongsan.org.vn/web/guest/the-gioi-van-de-su-kien/-/2018/1079702/dia---chien-luoc-va-gia-tri-dia---chien-luoc-cua-viet-nam-trong-boi-canh-moi.aspx


댓글 (0)

Simple Empty
No data

같은 카테고리

유명 잡지가 베트남의 가장 아름다운 여행지를 공개합니다.
타코우 숲으로 가다
조종사는 '4월 30일 붉은 깃발 바다 위를 날며 조국을 향한 마음이 떨렸다'는 순간을 회고합니다.
도시. 호치민, 통일 50주년

같은 저자

유산

수치

사업

No videos available

소식

정치 체제

현지의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