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해가 문을 두드리며 새로운 봄을 맞이했습니다. 용의 아홉 자녀의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아보겠습니다. 동시에 본 논문은 베트남의 용 상징 표현이 다른 지역 국가들과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을 보이는 데에는 자연 조건, 미적 사고, 신앙, 종교의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용은 후에 황궁의 왕조를 상징합니다. 유안(劉安, 기원전 179년~기원전 122년)이 쓴 『화남자(和南子)』는 용의 아홉 아들을 소개하는 초기의 기록으로, 피롱(皮龍), 웅롱(雄龍), 교롱(秋龍), 전롱(天龍) 등 여러 종류의 용을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용 이미지는 새와 물고기 등 실제 동물의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용의 형상은 사슴뿔, 낙타머리, 악마의 눈, 뱀목, 조개배, 잉어비늘, 매의 발톱, 호랑이발, 소귀 등 '9가지 유사점'의 법칙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용의 머리에는 혹 같은 것이 있는데, 이 혹이 없으면 용은 날 수 없습니다. 비행을 돕기 위해 날개가 추가되었습니다. 갈기와 수염도 마찬가지입니다. 용의 상징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용의 아홉 자식(롱신꾸뚜)은 베트남과 중국, 일본, 북한,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에서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이 용 "가족"의 이미지는 전설의 동물인 용과 현실 세계의 동물을 결합하여 표현되었습니다. 발톱이 3개 달린 일본 용은 뚜렷한 특징이 있습니다. 용이 새끼를 낳는다는 전설은 『선진양한』이나 『사기』 등 문헌에 언급되어 있으며, 옛날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전설입니다. 그러나 명나라 시대에 이르러서야 주목할 만한 기록이 나왔다. 예를 들어, 리동즈엉(Ly Dong Duong, 1447~1516)의 "호아이록즈엉탑(Hoai Loc Duong Tap)", 룩둥(Luc Dung, 1436~1494)의 "툭비엔탑키(Thuc Vien Tap Ky)", 누즈엉탄(Nhu Duong Than, 1488~1559)의 "탕암응오아이탑(Thang Am Ngoai Tap)", 타찌우치엣(Ta Trieu Chiet, 1567~1624)의 "응우탑트로(Ngu Tap Tro)" 등이 있다. 용의 자식들에 대한 기록은 매우 풍부하고, 그 내용에도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일반화할 수 있다. 용은 아홉 명의 아이를 낳았는데, 그 중 용이 아닌 자식들은 용의 몇 가지 특징만을 가지고 있다. 용의 아이들에 대해서는 두 가지 주요 이론이 있는데, 각기 다른 순서로 존재합니다. 첫 번째 학설에 따르면 용의 아홉 아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장남은 투 응우, 냐이 테, 짜오 퐁, 보 라오, 토안 응에, 바 하, 베 응안, 푸 히이고, 아홉 번째 아들은 시 반이다.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용의 아홉 아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장남은 바하, 시반, 보라오, 베응안, 타오티엣, 콩푹, 냐이테, 토안응에, 티에우도다. 용의 자식이라고 전해지는 인물은 모두 12명이다. 용은 영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용의 자식들도 그 영을 지니고 있어, 그들이 나타나는 곳마다 행운과 행복을 가져다줍니다. 각 동물의 성격에 따라 사람들은 문, 주방 기구, 무기, 악기 등 다양한 장소를 장식하는 데 동물의 이미지를 사용합니다. - 투 응우는 작은 용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노란색이고 유니콘 뿔과 같은 뿔이 있습니다. 이 종은 음악을 매우 좋아해서 종종 악기의 머리를 선택하여 앉습니다. 그래서 고대인들은 종종 투 응의 이미지를 악기를 장식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 나이테는 늑대와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으며, 등을 따라 용의 뿔이 길게 자라고 있습니다. 이 종은 사나운 눈, 공격적인 성격, 살인에 대한 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나이테는 무기에 새겨져 장식용으로도 쓰이고, 손상 위협을 증가시키기도 합니다. - 뜨라오 퐁은 모험심이 많고, 등반과 먼 곳을 바라보는 것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이 종은 화재 예방과 악령 퇴치의 의미로 기둥 꼭대기나 집 지붕 모서리, 건축물의 높은 곳에 새겨지곤 합니다. - 보라오는 바다 근처에 살지만, 고래를 매우 무서워합니다. 볼라오는 고래를 만날 때마다 대개 매우 큰 소리로 비명을 지른다. 따라서 보라오는 종종 종 위에 주조되는데, 이는 종소리가 멀리 널리 울려 퍼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토안 응에의 몸은 사자이고 머리는 용입니다. 하지만 시끄러운 형제들과는 달리 토안 응에씨는 오히려 조용한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이 종은 조용함을 좋아하고 종종 가만히 앉아 향 연기가 올라가는 것을 지켜보곤 합니다. 따라서 토안 응에(Toan Nghe)는 종종 향로 위에 조각됩니다. - 바하는 거북이 모양이고 용의 머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하는 무거운 물건을 옮기는 것을 좋아해서 기둥이나 석비 아래에 장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받침대는 호랑이 모양이며 길고 날카로운 송곳니와 강력한 위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베 응안은 매우 직설적이고, 정의롭고, 정의를 사랑하며 공평함을 주장하는 걸 좋아합니다. 따라서 받침대는 종종 교도소 문, 관청 문, 또는 정의와 재판과 관련된 장소에 장식됩니다. - 푸히는 용과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우아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종종 바위 위에 웅크리고 있습니다. 푸히는 비석에 새겨진 글을 보는 것을 좋아했으며, 종종 누워서 글을 보곤 했습니다. 이런 이상한 취미 때문에 푸히는 종종 쌍으로 조각되어 비석 위에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 시반은 바다에 살고, 용의 머리와 같은 머리, 꼬리, 지느러미, 넓은 입과 짧은 몸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때마다 꼬리를 물에 부딪히자, 물이 하늘로 솟아올라 온 하늘과 땅을 뒤덮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시반은 경치를 즐기는 것을 좋아했고 종종 사람들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도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고대 궁전, 탑, 사찰의 지붕에 장식으로 조각되었는데, 이는 화재를 진압하고 예방하고자 하는 바람을 의미합니다. - 타오티엣은 눈이 크고 입이 넓고 생김새가 이상해요. 이런 정신은 만족을 모릅니다. 그래서 탐욕스럽고 무례하지 않도록 먹는 사람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식기에 새겨 넣습니다. - 콩푹 신은 물을 좋아해서 다리, 운하, 댐, 부두, 보트 등 수상 운송 수단이나 건축물에 장식으로 조각합니다. 이는 콩푹 신이 항상 사람들에게 공급하는 물의 양을 관리하고 보살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 티에우 도는 사생활을 좋아하고, 종종 달팽이처럼 몸을 웅크리고, 다른 사람이 자신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지도는 종종 문에 조각되거나 문 손잡이에 장식되어 집주인의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의미합니다. 후에 황궁 입구에는 용의 아홉 자식 중 하나가 장식되어 있습니다.베트남의 용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용 비교 중국의 용의 이미지는 베트남, 한국, 북한,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각 계층의 취향과 사회 계층에 맞게 다양한 담론에 따라 다르게 발전하고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각 나라의 자연적, 사회적 여건이 다르기 때문이다. 용의 이미지는 원래 각 조각가나 화가의 미적 사고와 이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됐지만, 나중에는 다양한 역할, 모양, 색상으로 표현되는 일련의 가치로 뒤덮였습니다. 따라서 베트남과 동북아시아 국가 간에 용의 상징이 다를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유교의 영향을 받았지만, 중국 이외의 나라들도 용의 상징에 대한 역할과 의미에 있어 그들만의 특징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왕실이 용 숭배를 금지했지만, 베트남에서는 많은 지방 사원과 탑에 장식용 용 이미지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역할 면에서 대부분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점 중 하나는 용이 인간을 보호하고 은신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용이 맡은 역할 중 가장 오래되고 오래된 역할 중 하나입니다. 《회남자(懷南子)》의 《천문학(天文學)》 편에서는 천문을 네 방위와 중앙 영역으로 나누었습니다. 각 영역은 나무, 불, 흙, 금속, 물 등의 요소를 나타내며, 청룡/황룡, 주작, 호랑이, 전사 등 방향적 신이 모셔져 있습니다. 이런 인형들은 사람들을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며 궁전과 건물을 장식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역사적으로 용은 동양을 관장하는 방향의 신 중 하나로, 다른 신들과 연관이 있다고 믿어졌습니다. 다른 나라의 용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베트남의 용은 종종 수호신으로 이해됩니다. 수호신은 비를 조절하고 사람들이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도록 도와 행복과 평화를 가져다줍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일본 용은 파괴의 상징으로 여겨져 많은 재앙을 가져오기도 합니다. 게다가 베트남, 중국, 북한, 남한 등지에서는 용이 삶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용은 항상 행운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이것이 확실하지 않다. 키리토, 거북이, 봉황 등의 상징에 이어, 일본의 용 모티브는 일본 예술과 문화에서 인기 있는 이미지 중 하나입니다. 모양 면에서 베트남 미술과 미술에서 용을 묘사하는 방식은 동북아시아 국가들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베트남의 리-쩐(Ly-Tran) 시대에는 용들이 궁전이나 왕의 소지품을 장식했는데, 장식의 형태에 따라 발톱이 3개, 4개 또는 5개씩 달렸는데, 둥근 조각상이든 부조이든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레(Le)나라 시대에는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용의 발에는 항상 날카로운 발톱이 다섯 개씩 있었습니다. 응우옌 왕조의 규정에 따르면, 발톱이 5개인 용은 왕에게, 발톱이 4개인 용은 왕세자에게, 발톱이 3개인 용은 평민에게만 허용되었습니다. 중국에서 발톱이 5개인 용은 권력과 왕족을 상징하고, 발톱이 4개인 용은 초자연적 힘(신, 부처)과 관료 계층을 상징하며, 발톱이 3개인 용은 서민을 상징합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대부분 용 그림에 발톱이 세 개만 있습니다. 이는 베트남, 중국, 일본, 북한, 남한 등 각국의 용의 발톱 개수에 대한 개념의 차이입니다. 후에 황궁의 용 동상. 색상 면에서 베트남, 중국, 북한, 한국의 용은 다양한 색상으로 칠해져 있는 반면, 일본의 용은 파란색과 검은색이라는 두 가지 주요 색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푸른 용은 아름다움과 고귀함을 상징합니다. 검은 용은 행운을 상징하는데, 사람들은 검은 용이 비를 내리게 하고 번영을 가져다 준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베트남, 중국, 한국, 일본에서는 용의 모습이 봉건 왕조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일본의 용 이미지는 모양(발톱이 3개, 색깔은 파란색과 검은색)과 의미(행운의 상징, 파괴의 상징)가 균일했습니다. 일본은 섬이라는 특수한 환경과 혹독한 기후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과 문화는 거의 완벽한 일체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본의 용 역시 모양과 의미에 있어서 일관성을 보인다. 베트남 용 상징의 독특한 특징 베트남 용은 지역별로 지리적 다양성의 특징을 보여주었습니다. 동북아시아 국가의 용은 어느 정도 권력의 상징이다. 베트남의 용은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초자연적인 존재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베트남의 용은 마을 사원에 새겨진 이미지를 통해 베트남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민속 신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널리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베트남 사람들은 용과 그 힘에 복종하는 것 같습니다. 베트남 용의 역할과 중요성은 베트남의 관용어와 속담에서 분명하게 나타나며, 용을 신성하고 고귀한 이미지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베트남 사람들은 사회계급의 차이를 구별할 때 종종 "용알에서 용이 부화하고, 오리 떼에서 오리 떼가 부화한다"고 말합니다. 어느 정도 베트남의 용은 동북아시아 국가의 용과 다릅니다. 베트남 사회사에서 여성을 존중하는 전통으로 인해 여성화되었습니다. 반면, 베트남의 용은 동남아시아 문화권의 뱀신인 나가와 조화를 이루며 남부적 요소를 흡수합니다. 중부 및 남부 베트남의 역사는 역사상 "인도화된" 국가들과 강력한 상호 작용을 했습니다. 따라서 용 이미지는 브라만교에서 유래한 나가 뱀 상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용의 이미지는 아직도 형성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있으며, 끝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베트남 사상과 문화적 정체성의 중요한 본질을 나타냅니다. 즉, 과학과 기술 시대에 밝은 미래를 향해 움직이는 "베트남의 용"처럼 새로운 요소의 개방성, 조화, 통합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