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일본의 외무장관은 2020년 이후 중단된 두 나라 간 전략적 대화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중국 외교부장 왕이는 11월 25일 한국 부산에서 일본 외무대신 가미카와 요코와 회담을 가진 뒤 "양국은 상호 이익이 되는 전략적 관계를 실천에 옮겨 구체적인 로드맵과 이행 시기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일본 외무장관은 2020년 초부터 중단되었던 양국 간 전략적 대화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양측은 외교 기관 간 정기 협의와 양자 안보 대화를 유지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가미카와 외무장관이 9월에 취임한 이후 일본과 중국의 외무장관이 직접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회의는 한국이 주최한 동북아 외교장관 회의의 일환으로 열렸습니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번 대화를 통해 3자 정상회담 모델이 부활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이 행사가 마지막으로 열린 것은 2019년 9월이었습니다.
일본 외무장관 가미카와 요코(왼쪽)와 중국 외교부장 왕이가 11월 25일 한국 부산에서 회담을 갖고 있다. 사진: 교도통신
이에 앞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일본 총리 기시다 후미오는 11월 중순 미국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을 갖고 "상호 이익이 되는 전략적 관계"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습니다.
이러한 관계의 개념은 2008년에 두 나라에서 제시되었지만, 많은 문제와 관련하여 중국-일본 관계의 긴장으로 인해 자주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국무위원은 모든 당사국에 이를 깨닫고 일중 관계를 "올바르고 건강한" 방향으로 발전시킬 것을 촉구했습니다. 왕이 국무위원은 "양측은 상호 이익이 되는 전략적 관계를 실천에 옮겨 적절한 로드맵과 일정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가미카와 외무대신이 왕이 부장과 긴밀히 협력해 "안정적이고 건설적인" 양자 관계를 구축할 준비가 되었다고 밝혔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양국 외교부의 성명은 중국과 일본 사이에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의견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왕이 국무위원은 일본이 '일중' 원칙을 존중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한편, 가미카와 여사는 대만 문제에 대한 일본의 입장은 변함이 없으며, 동해안의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가미카와 여사는 중국에 일본산 해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해제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일본이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처리된 방사성 오염수를 방출한 후 중국이 이러한 명령을 내렸습니다.
왕이 외교부장은 중국은 일본이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는 것에 반대하며, 관련 당사국을 대상으로 "포괄적이고 효과적이며 독립적인 장기 감시 메커니즘"을 구축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탄단 ( AFP 에 따르면)
[광고_2]
소스 링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