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9일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결핵 관리 프로젝트 2단계 출범식. (출처: IOM) |
5월 19일, 국제이주기구(IOM)는 베트남 국가결핵관리프로그램(CTCLQG), 국립폐병원, 베트남 보건부, 캄보디아 결핵 및 나병관리센터(CENAT)와 협력하여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의 재정 지원을 받아 "베트남-캄보디아 국경 결핵 관리 프로젝트"의 두 번째 단계를 시작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국경 지역을 자주 여행하는 사람들의 결핵 진단 및 치료를 개선하고, 안장성과 떠이닌성(베트남)과 스바이리엥성과 타케오성(캄보디아)의 4개 성의 보건 기관 간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국경을 자주 넘나드는 사람들은 건강 보험 부족, 언어 장벽, 목적지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 대한 이해 부족, 차별 등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를 받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장애물로 인해 결핵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되고, 치료가 중단되고, 치료 결과가 좋지 않으며, 다제내성 결핵(MDR-TB)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2022년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여전히 결핵(TB)과 다제내성 결핵(MDR-TB)의 세계적 부담이 가장 큰 30개국 중 하나입니다. 반면 캄보디아는 더 이상 WHO의 결핵 부담이 높은 30개국(2021~2025년)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현재 감시 목록에 올랐습니다.
2020년에 IOM은 베트남 국가 결핵 관리 프로그램 및 캄보디아 결핵 및 나병 관리 센터와 협력하여 위 4개 성의 국경 이주민이 결핵 진단 및 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접근하는 데 직면한 장벽과 촉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베트남과 캄보디아 국경 지역의 결핵을 통제하기 위한 협력 활동을 개발하는 데 있어 두 정부의 관련 보건 기관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베트남에서 IOM은 보건부가 설립한 학제간 실무 그룹인 이주자 건강 실무 그룹과 긴밀히 협력하여 이주자 건강과 관련된 주요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출처: IOM) |
프로젝트 출범식에서 IOM 베트남 대표부 박미형 대표는 이주민의 건강을 보장하려면 이주 과정에 참여하는 국가 간의 포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결핵에 걸린 국경 이주민을 지원하고 안장, 떠이닌, 스바이리엥, 타케오 지방에 결핵 및 HIV/AIDS에 대한 지역 신속 대응 부대를 설립하기 위해 이주민 중심의 의뢰 시스템을 개발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국경 지역의 이주민에 대한 결핵 치료가 해당 지역의 모든 의료 네트워크에서 중단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습니다.
박미형 씨는 "이민, 국경 보안, 경제 및 개발 기관 등 비보건 기관의 협력도 환영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 모두가 번영하는 경제를 위해 건강한 이주민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주민의 건강을 보장하려는 노력은 세계보건총회에서 주요 세계적 건강 목표이자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초석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2020년 12월 보건부가 발표한 이주에 관한 글로벌 협약 이행 계획에 대한 결정 5608/QD-BYT의 이행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베트남에서 IOM은 보건부가 설립한 학제간 실무 그룹인 이주자 건강 실무 그룹과 긴밀히 협력하여 이주자 건강과 관련된 주요 문제를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이주자 친화적인 건강 정책의 시행을 촉진합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