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냐 수도 나이로비에서 압둘라흐만 무사라는 이름의 무슬림은 "우리는 팔레스타인에 있는 우리 형제자매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터키 이스탄불의 아야 소피아 모스크에서 예배를 드린 사람들은 팔레스타인 국기를 들고 가자지구 주민들을 지지하는 구호를 외쳤습니다. 유엔은 가자지구에서 백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기근에 직면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팔레스타인인들이 이드 알 피트르 첫날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사망한 친척들의 무덤을 참배하고 있다. 사진: AP
가자지구에서 열린 이드 알피트르 역시 기쁨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발리야 난민 캠프의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으로 사망한 33,000명 이상의 가족들을 애도했습니다.
폭격을 받은 건물들 사이에서 옴 니달 아부 오메이라라는 한 여성이 혼자 앉아 어머니, 사위, 손자의 무덤 앞에서 울고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모두 사망했습니다.
"아이들은 계속 '아빠 보고 싶어요. 어디 계세요?'라고 말했어요." "그가 천국에 있다고 말했더니, 그들이 울기 시작했고, 저도 울기 시작했어요." 그녀는 이렇게 말했다.
다른 곳에서는 무슬림들이 한 달간의 금식과 성찰을 거친 뒤 자신들이 가진 것에 대해 감사를 표현합니다. 휴일을 앞두고 전 세계의 시장은 쇼핑객으로 가득 찹니다. 사람들은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축하하기 위해 도시를 떠나 마을로 돌아갔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무슬림 국가인 인도네시아에서는 인구의 거의 4분의 3이 이 명절에 집으로 돌아간다. "거의 1년 동안 집을 떠나 지낸 후 에너지를 재충전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갈 적절한 시기입니다." 수도 자카르타에 살다가 람풍 주로 돌아오는 리도 알피안의 말이다.
동남아시아 최대 규모인 자카르타의 이스티클랄 모스크는 예배자들로 가득 찼습니다. 이곳에서 설교자들은 사람들에게 가자지구의 무슬림을 위해 기도해달라고 호소합니다.
인도네시아 모스크 협의회 자문 위원회 의장인 짐리 아시디키에는 "가자지구 갈등은 종교 전쟁이 아니라 인도주의적 문제이기 때문에, 지금은 무슬림과 비무슬림 모두가 인도주의적 연대를 보여야 할 때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독일 베를린에 사는 다섯 자녀의 어머니인 아즈라 아흐마드(45세)는 "이 날은 우리가 여기 있는 모든 것에 감사하는 날이며, 갈등과 빈곤에 직면한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날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파키스탄 당국은 시장과 모스크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 10만 명이 넘는 경찰과 준군사 병력을 배치했습니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 무슬림들이 전국의 모스크에서 아침 기도를 드립니다.
응옥 안 (AP에 따르면)
[광고_2]
원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