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19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UNSC)는 북한의 화성포-18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문제에 관해 회의를 열었습니다.
북한은 12월 18일 ICBM 화성포-18을 발사했다. (출처: 조선중앙통신) |
그러나 교도 통신은 안전보장이사회가 주요 이사국 간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이번 회기에서 결정을 내리지 못했으며, 이사국 대표의 성명만 발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회의에서 미국은 러시아와 중국에 다른 회원국들과 협력하여 북한의 발사에 대한 통일된 대응 방안에 합의할 것을 촉구했지만, 모스크바는 워싱턴에 한반도 인근에서 군사 활동을 중단하고 "더 이상의 도발적인 조치를 자제"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같은 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원국이 아닌 북한은 성명을 통해 12월 18일 ICBM 화성포-18을 발사한 것은 미국과 한국이 "핵추진 잠수함과 전략 핵폭격기 등 대규모 무력을 전개"한 상황에서 자위권을 행사하기 위한 것이라고 확인했습니다.
또한 12월 19일, 한국 통신사 연합뉴스 는 외교부 임수석 대변인이 중국이 북한 문제에 대해 "건설적인 역할"을 해 줄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통화는 평양이 화성포-18을 시험한 날 중국 외교부 장관 왕이가 북한 외무성 부상 박명호를 만난 뒤 나왔습니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책임 있는 상임이사국이자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가입니다.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고 대화로 복귀할 수 있도록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바랍니다."라고 한국 외교관은 강조했습니다.
임수석 씨는 또한 한국은 미국, 일본 등 주요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대응 방안과 북한에 대한 독립적이고 다자간 제재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사건으로, 합동참모본부 의장 김명수 제독은 12월 19일 대한민국 육군 지상작전사령부를 방문하여 갑작스러운 포격에 대비해 강력한 전투태세를 갖추라고 명령했습니다.
합동참모본부 위원장은 북한의 포격 공격을 최단 시간 내에 '무력화'하기 위해서는 한국과 미국의 연합 화력부대 간의 긴밀한 협조가 중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남한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장거리포 약 700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 중 약 300문은 전체 인구 5,150만 명 중 절반이 거주하는 서울 수도권에 위협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광고_2]
원천
댓글 (0)